المدة الزمنية 5:34

[BEMIL 현장취재] 저소음 은밀 침투 비행이 가능한 전기동력 틸트로터 (TR)기가 개발된다 무장/공격, 인원수송, 통신중계 등 다목적 운용이 가능한 군용 버전 '버터플라이'

بواسطة 유용원TV
10 539 مشاهدة
2
313
تم نشره في 2021/10/25

한화시스템이 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미국 오버에어(Overair)사와 함께 개발 중인 에어모빌리티 기체 버터플라이(Butterfly)의 군용 버전 현장취재 영상입니다. 버터플라이의 수직이착륙 및 고기동 특성은 국방 분야에 있어서도 인원∙물자 수송용, 무장∙공격형, 감시∙정찰용, 평시 작전 원용 등 다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한화시스템은 국방 틸트로터형(TR) 항공기 개발을 위해 군사적 활용성과 필수 개조 요소 식별을 통해 오버에어사와 기술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.

الفئة

عرض المزيد

تعليقات - 35
  • @
    @user-kw1uo6ti5sمنذ 2 سنوات 대단합니다 한화 훌륭한 시스템 입니다 . 군용시스템 하나하나 만드실 때 마다 . 국기 가운데 붙여놓으시길 감사합니다 화이팅
  • @
    @imj9868منذ 3 سنوات 다 좋은데 시속 320으로 1시간이면 배터리 개량을 하지 않는 한 수송 같은 건 못하겠네요 11
  • @
    @user-rk5jz5cj3fمنذ 3 سنوات 굉장히 효율적으로 보이네요 결국 중요한것은 전기차와 마찮가지로 배터리가 핵심이 되겠군요 11
  • @
    @user-pe7vs2ol8xمنذ 3 سنوات 배터리로는 무리고 수소연료전지(액화수소저장/사용) 방식이 되어야 충분한 항속거리를 확보할 수 있겠네요. 7
  • @
    @centvin01منذ 3 سنوات 틸트로터를 한국형 항공모함에 맞게 크기를 더 키워 무인조기경보 역할을 했으면 금상첨화일듯. 4
  • @
    @braitnerbell1577منذ 3 سنوات 드론전투기에는 탑승인권과 화물을 정면과 후면에서 탑제하는 설계가 필요합니다. 드론이니 만큼 후진도 가능하도록 치누크?비슷하지만 앞 로터가 높이는 기술이 필요합니다.
  • @
    @user-cj7pe4nq7vمنذ 3 سنوات 수소 연료로 운행하는 기체가 된다면 아주 좋을 것입니다.
    기술이 부족하다면 두산이나 현대와 협력을 추천하겠습니다.
    12
  • @
    @MK-pn6cqمنذ 3 سنوات 틸트로터 기술이 쉽게 개발되는 건지 궁금하네요
    우리나라 오랜기간을 들여서 개발한것으로 알고 있는데
    지금은 대한항공에 기술이 가 있고.
    저거 한화가 개발 안정화 하려면 십년 넘게 걸리는거 아닌가요?
    1
  • @
    @user-lo5uv4fx9dمنذ 3 سنوات 군용은 하이브리드로 계획하고 있답니다. 배터리는 날개에 보관하는데 전기의 추력이 무거운 연료탱크까지 효율적으로 지지해줄지는. 진짜 납품을 기대하고 있다기보다 기술실증기에 더 가까울거 같습니다.
  • @
    @footstep002منذ 3 سنوات 당장은 중대형급이 되긴 어려울테고 전기를 활용한 주로 저소음에 포커스를 맞춘 비교적 경량의 침투용 vtol을 목표로 개발하는 모양이군요. 오스프리의 경우와 달리 로터를 2개 더 쓰는 만큼 각각의 rpm을 더 낮춰 보다 소음을 더 더욱 줄이면서도 필요한 수준의 양력을 확보할 수 있겠죠. 나중에 배터리셀 기술이 더 발전해서 에너지 밀도가 꽤 더 높아지고 전기모터 관련해서 보다 고효율성의 모터가 나올경우 보다 고중량급 기체로 키울 수도 있겠죠. ....وسعت
  • @
    @myskynet2منذ 3 سنوات 베터리는 무거워서 장시간 운행은 어렵겠고.
    수소로 가려나?
    전고체배터리가 나오지 않는 이상은 힘들듯
  • @
    @prococonutمنذ 3 سنوات 저소음이라는데 몇 데시벨인지 안나왔고, (댓글 감사)
    활공시간 한 시간이면, 채공시간이 너무 짧게 느껴지네요. 틸트로터가 헬기처럼 많은 에너지 잡아 먹는 건 알지만. 그리고 조종사 포함6명은 숫자가 적네요. 민간용도 아니고 유용원님 채널이면 군사관련인데.
    아직 전기모터 비행체는 베터리든 연료전지든 좀 더 에너지 관련 분야의 기술이 더 발전해야 할것 같습니다.
  • @
    @user-nm4co3dh6eمنذ 3 سنوات 무인 틸트로급이라 하더라도 조종사도 없는 승객이 탑승할까? 지상에서도 사고가 나는 마당에 공중에서? 100년이나 지나야 순수 무인기가 대중화 될듯!
  • @
    @Thoughter1منذ 3 سنوات .
    현 국회의원들이 국가보안법 폐지법률안 발의해버림.
    . 1
  • @
    @footstep002منذ 3 سنوات 당장은 중대형급이 되긴 어려울테고 전기를 활용한 주로 저소음에 포커스를 맞춘 비교적 경량의 침투용 vtol을 목표로 개발하는 모양이군요. 오스프리의 경우와 달리 로터를 2개 더 쓰는 만큼 각각의 rpm을 더 낮춰 보다 소음을 더 더욱 줄이면서도 필요한 수준의 양력을 확보할 수 있겠죠. 나중에 배터리셀 기술이 더 발전해서 에너지 밀도가 꽤 더 높아지고 전기모터 관련해서 보다 고효율성의 모터가 나올경우 보다 고중량급 기체로 키울 수도 있겠죠. ....وسعت
  • @
    @Thoughter1منذ 3 سنوات .
    현 국회의원들이 국가보안법 폐지법률안 발의해버림.
    . 1
  • @
    @footstep002منذ 3 سنوات 당장은 중대형급이 되긴 어려울테고 전기를 활용한 주로 저소음에 포커스를 맞춘 비교적 경량의 침투용 vtol을 목표로 개발하는 모양이군요. 오스프리의 경우와 달리 로터를 2개 더 쓰는 만큼 각각의 rpm을 더 낮춰 보다 소음을 더 더욱 줄이면서도 필요한 수준의 양력을 확보할 수 있겠죠. 나중에 배터리셀 기술이 더 발전해서 에너지 밀도가 꽤 더 높아지고 전기모터 관련해서 보다 고효율성의 모터가 나올경우 보다 고중량급 기체로 키울 수도 있겠죠. ....وسعت
  • @
    @Thoughter1منذ 3 سنوات .
    현 국회의원들이 국가보안법 폐지법률안 발의해버림.
    . 1